Women's Leadership in Haitian Vodou 아이티 부두교의 여성 리더십 > 연구활동


연구활동

연구활동

Women's Leadership in Haitian Vodou 아이티 부두교의 여성 리더십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5-23 17:58 조회198회 댓글0건

본문

Women's Leadership in Haitian Vodou

아이티 부두교의 여성 리더십 

 

 

*카렌 매카시 브라운Karen McCarthy Brown

 

저자는 드류대학원과 신학대학원the Graduate and Theological Schools of Drew University 교수이다. 그녀는 1973년 아이티에서 Vodou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1978년 뉴욕의 아이티이민자들 사이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그녀는 북미 페미니스트들을 위한 자료로서 Vodou에 대한 여러 기사를 썼고 “마마 롤라: 브루클린의 Vodou교 여사제”에 관한 작업을 하고 있다.

 

========================

부두교(Vodou)는 18세기 아이티의 노예농장에서 시작되었다. 서아프리카의 몇몇 독특한 전통과 프랑스 지배계층의 가톨릭 신앙이 창조적으로 혼합된 부두교는, 여러 “영(靈)들”을 트랜스-빙의(trance-possession)를 통해 사람들에게 접근 가능하게 만든다. 이 영들은 각각 가톨릭 성인과 동일시된다. 부두교에서는 주로 여성사제와 남성사제들이 영혼에게 “말을 태우듯” 빙의가 되며, 영혼들이 사람들에게 강력하고도 친밀하며 직접적으로 접근해서 그들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그들의 몸과 목소리를 빌려준다.

아이티에서 노예해방혁명(1791-1804)이 성공한 후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가부장적 대가족체제가 되살아났다. 하지만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아이티 내 도시지역이나 해외에서 살고 있는 다아스포라 공동체에서는 이러한 전통이 사라지고 있다. 대부분의 농촌지역과는 달리, 도시나 해외에 살고 있는 아이티인들 사이에는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종교 지도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가부장적 가족 체제가 해체된 결과,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가정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 가정에서 여성이 주요 결정권자나 주된 생계부양자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내가 받은 인상은(인구조사 통계는 없지만) 이런 유형의 여성들, 즉 자유와 책임,둘 다 가진 여성들이 성공적인 부두교 여사제로 활동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나아가, 여성 리더십이 현대 부두교 방식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측도 타당할 것이다. 부두교는 실존적으로나 신학적으로나 매우 깊이 있는 다원주의적 종교이며, 갈등을 삶의 필연적이고도 본질적인 요소로서 받아들인다. 그 결과, 부두교의 도덕적 관점은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도덕적 판단은 인간의 본질이나 행위가 아니라 건강하고 활력 있는 변화 가능한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부두교 전체는 치유에 관한 활동이며, 모든 치유 작업은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뿐 아니라 “살아 있는 자”와 영혼(spirits) 간의 관계 또한 중시한다.

 

나는 이렇게 주장한다. 아이티에서나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 관계 중심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는 여성들이 지도자의 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부두교의 핵심적인 세계관인 관계 중심성을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는 것이다. 나는 이 글에서 전 세계 여성들에게서 관찰되는 사회적· 관계적 기술들과 조화를 이루는 부두교의 측면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이 논의가 여성의 관계중심성에 대한 페미니즘 분석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길 바라며, 때로 단순한 자기희생 혹은 이타심으로 잘못 오해받아왔던 여성의 특성의 복합성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지난 10년간 나는 알루르드(Alourdes,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이름만 사용)라는 50대 중반의 부두교 여사제와 긴밀하게 협력해왔다. 그녀는 아이티에서 태어났지만 25년 전 뉴욕으로 이주해왔으며, 브루클린에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의 이민공동체에서 매우 존경받는 성공적인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이후의 나의 분석은 알루르드의 활동을 직접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 알루르드가 속한 공동체 구성원들은 그녀의 성공적인 빙의-행위(possession-performances)를 통해 부두교 영들과 만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알루르드가 성공적인 빙의-행위를 한다고 해서 그녀가 리더십을 가졌다는 증거로 해석하기 전에, 부두교 공동체 내부의 복잡하고도 모순된 이해 방식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그녀는 영(靈 chwal), 즉 "말 horse"의 역할이기에,공식적으로는 수동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트랜스상태가 시작될 때 나타나는 초기의 소란스러움은, "수호천사"인 그로본 아니grobon ani와 그 자리를 차지하려는 부두교 영혼 사이의 싸움 때문에 나타난다. 수호천사를 잃으면 의식의 통제력을 상실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항은 본능적이다.

부두교 사제에 입문하는 것은 이 위험한 자아 교환(ego-exchange)을 다룰 수 있도록 배우는 긴 과정의 시작부터이다. 사제들은 영혼을 소환하는 방법을 배운다.; 트랜스에 들어가는 방법, 영혼에 통제를 넘기기 쉬워지기, 그리고 필요할 때 트렌스를 피하는 방법을 배운다. manbo(치유자)로서, 매우 유능한 "여사제"인 알루르드는 다소 짧고 형식적인 저항 시간을 거쳐 손쉽게 트렌스상태로 이동한다. 그녀는 종종 영혼이 자신의 몸을 통제할 때 일어난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점들은 영혼과 그 영혼에 빙의된 사람이 두 개의 완전히 독립된 별개의 존재로 여겨진다는 아이티인의 믿음을 재확인시켜주는 또 다른 방법이다.

 

이와 함께, 부두교의 많은 내용들에는 상반된 관점들이 공존한다. 부두교의식 및 언어에는 영혼과 인간이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는 몇 가지 요소들이 있다. 예를 들어, 아이티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당신은 알루르드의 오구Ogou를 보았어?”“너무 강해요!" 이렇게 사람과 영혼을 연결하는 방식은, 더 나아가 영혼이 가족 내에서 유전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도 한다. 그래서 알루르드가 죽고 그녀의 딸이 그 역할을 물려받으면, 사람들은 "매기Maggie의 머리 속에 있는 알루르드의 오구Ogou"라고 말할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영혼을 보호하려고 애쓰거나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입문 의식(initiation rituals)에서도 비슷한 점이 나타난다. 이러한 의식에서는, 개인 내부의 영혼들을 "살게 하고" 동시에 외부에 따로 모시는 장소를 만드는 데도 동일한 주의를 기울인다. 즉, 영혼은 "저 안에 있는" 존재임과 동시에 "저 밖에 있는" 존재로 다뤄진다.

 

알루르드의 의례에서 나타나는 영혼의 빙의(performance-possession)에서, 신성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이 공존한다. 내가 빙의-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한 배경에는 이러한  이중적인 관점이 있다. 이 용어는 연극의 맥락으로도 알 수 있는데, 어떤 잘 알려진 인물을 배우가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예술적 성공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그렇다고 해서 내가 알루르드의 빙의 상태가 연기를 한다거나 가식적이라는 표현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녀의 트랜스 상태는 진짜이다. 연극적 언어를 사용하는 의도는 모든 아이티인들이 동의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즉 어떤 사람이 '신의 탈 것( '영혼 전달자'chwal)’이 되는 데 더 뛰어나기도 하고, 또 어떤 배우가 인물을 더 잘 묘사하는 것처럼, 신을 더 잘 구현하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알루르드는 여러 가지 이유로 뉴욕 아이티 공동체에서 상당한 규모의 충실한 추종자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그녀가 매우 훌륭한 추왈chwal(영혼 전달자)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영혼이 알루르드의 머릿속으로 들어올 때" 그녀가 영혼을 만나고 또 그들로부터 직접 메세지를 전달받았다고 느낀다. 특정한 부두교 영혼(Vodou spirit)에 빙의된 사람을 중심으로 한 집단의 상호 작용은, 우리가 생각하는 서구유럽에 기초한 문화의 지도자와 추종자에 대한 관계와는 달라서, 언어로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강한 개인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아래에서 설명할 의례 장면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논의에 끌어들이지 않기 위하여, 나는 아이티 부두교문화 고유의 상호작용 모델을 사용하기로 했다. 이 모델은 부두교 드럼연주(Vodou drumming)이며 다음에서 설명하는 복잡한 상호 교환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현장의 연구노트에서 관련 구절을 인용하고 음악 모델과 비교하기 전에, 드럼 연주에 대해 몇 가지 알아야 할 것이 있다.1) 부두교 드럼연주는 철저히 아프리카적인 성격을 지닌다. 사실, 일부 연구원들은 아이티에서 여전히 연주되는 리듬이 그것이 유래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이미 사라졌다고 주장한다. 아이티와 아프리카 드럼연주 사이의 이러한 긴밀한 관계로 인해, 존 밀러 체르노프John Miller Chernoff의 훌륭한 아프리카 드럼연주 구조에 대한 연구를 아이티 부두교에서 외부의 미학적 가치에 대한 설명이 없어도 온전히 활용할 수 있다.

 

체르노프Chernoff는 아프리카 음악의 맥락과 내용이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즉, 음악의 내용은 그 음악을 함께 연주하는 공동체 그 자체라는 것이다. 이 관점을 지지하기 위해, 그는 가나의 타카이Takai 드러머의 말을 인용한다. 체르노프는 "음악이란 무엇인가?"라고 물었고, 이브라힘 압둘라이brahim Abdulai는 이렇게 대답했다. “음악은 우리에 대해 감추지 않고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이며, 그 결과 우리를 더욱 풍요롭게 해줍니다.”2)

이러한 주장은 보두교 의식(Vodou ritual)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곧 보게 되겠지만, 보두교는 아프리카 드럼 연주에서 체르노프(Chernoff)가 발견한 것과 같은 다양한 상호작용의 힘을 통해 사회적으로 드러내는 작업을 지속해 나간다. 아프리카 드럼은 폴리 리듬polyrhythmic이다. 한 곡 안에서 항상 두 개 이상의 리듬이 동시에 존재하며, 종종 그보다 더 많은 리듬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다. 각각 별도의 드럼에 의해 전달되는 다양한 리듬은 복잡한 방식으로 서로 섞인다. 이러한 복잡성의 증거는 아프리카 드럼앙상블의 음악을 서양식 표기법으로 단순화하여 기록할 수 없다는 사실에서도 드러난다. 각 드럼에 서로 다른 리듬뿐 아니라 서로 다른 박자를 할당해야만 서양식 악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복합 박자(polymetric 폴리메트릭 )드럼은 서로 다른 리듬이 맞부딪히고 충돌하는 인상을 준다.

 

게다가 그 누구도, 심지어 드러머조차도, 모든 리듬을 동시에 들을 수 없다. 기술적으로 말하자면, 같은 소리의 패턴을 단순 반복하는 것일지라도, 듣는 사람이 한 리듬 라인에서 다른 리듬 라인으로 초점이 이동하기 때문에 실제로 리듬이 변하는 것으로 경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아프리카드럼의 역동적이면서도 균일하지 않은 특성은, 서양 리듬에 익숙해진 귀를 완전히 혼란스럽게 만든다.  서양 청취자들, 적어도 백인인 우리들은 수동적으로 우리가 음악을 듣던 방식대로 이 음악을 들으려고 하기 때문에, 이 리듬을 혼란스러워한다. 아프리카 음악을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 음악에 참여하는 것이다.

아프리카인들이 특정한 유형의 음악을 이해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체르노프는 "그 음악과 어울리는 춤을 안다면 ‘그렇다’라고 대답할 것이다."라고 말한다.3) 이러한 맥락에서 춤은 단순히 음악의 반주가 아니라 음악을 만드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서양의 리듬 구조에 익숙한 청취자들은 이 음악에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을 선호하며 많이 들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바로 그 지점에서, 오히려 거의 강조가 없는 것을 알게 된다. 우리가 메인 비트라고 부르는 것은 없다.4) 아프리카 음악에서의 메인 비트는 손을 두드리고 발을 쿵쿵거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또한 듣는 사람의 마음에 달려있기도 하다.

 

우리는 음악가들이 "비트 주변"을 연주한다.”고 할 수도 있고, 또는 비트를 벗어나(off-beat) 연주한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 그 비트를 식별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이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가 듣는 것보다 더 많이 추가된 리듬을 마음이나 몸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아프리카 음악을 "이해한다.“ 앙상블의 리듬들 사이에 또 다른 리듬을 듣는 것은.... 그것은 곧 다중리듬 속에서 한결같음(steadiness)을 유지하는 방식이다.5) 이렇게 통합적인 비트를 식별하고 유지하는 이러한 능력을, 체르노프Chernoff는 워터먼Waterman을 따라 "메트로놈 감각"이라고 부른다.6)

이제, 이러한 아프리카리듬 구조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필자의 현장 분석으로 다시 돌아간다. 그 기록에는, 엄숙한 전사 영혼인 오구Ogou가 알루르드에 빙의되었다가 막 떠나려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영혼이 떠나려고 출발하면, 그녀의 몸이 무너지듯 의자에 쓰러진다. 알루르드의 몸이 아직 의자에 앉기도 전에 게데Gede(죽음과 섹슈얼리티, 어린 아이와 사회 풍자가의 영혼)가 도착한다. 그는 짓궂은 웃음을 지으며 의자에서 펄쩍 뛰어오르며 등장하고, 방안은 그를 알아보며 기뻐하는 웅성거림과 웃음으로 가득 찬다.

게데Gede의 속임수는 항상 분위기를 밝게 만들었고, 그날 밤은 두 시간이 넘도록 오구Ogou가 특별한 해방감을 주었다. 죽음과 

성의 영, 어린이의 수호자이자 사회 풍자자인 게데Gede는 검은 모자와 한쪽 렌즈가 빠진 검은 안경을 요구한다. 그리고는 그는 방 안에서 그의 몸을 여러 여자들의 몸에 대고 누르고 사랑을 나누는 흉내를 내면서 장난을 치고 뛰어논다. 그는 후추를 뿌린 타피야[생 럼주]의 음료를 나눠주며 모두와 농담을 하며 긴 시간을 보낸다.

게데Gede는 우아하게 차려입은 한 젊은이에게 무자비하게 군다. 그에게 앞에 있는 바닥에 앉으라고 명령을 한 후, 그에게 커다란 음경을 가지고 있는지 계속해서 묻는다. 그는 다른 남자의 모자를 훔친다. 그리고 내가 사진을 찍으려고 하면 돈을 요구한다. 나는 그에게 잔돈을 조금 주었지만, 그는 돌아와서 나에게 그 정도로는 돈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나는 결국 1달러를 주고서야 방해받지 않고 사진을 찍는다. 마침내, 게데Gede가 떠나고 노래가 시작된다. 불과 몇 분 만에, 에질리 단토르Ezili Dantor가 큰 소리를 내며 도착하고 우리는 모두 갑자기 깨어났다. 알루르드의 풍만한 몸이 근처에 서 있던 한 남자의 몸과 충돌한다. 그 영혼이 전염되듯이 퍼져 그 남자도 음식이 잔뜩 올려진 식탁에 몸을 부딪친다.

 

에질리 단토르Ezili Dantor의 눈은 튀어나올 듯 번쩍이고, 그녀는 한 가지 소리를 반복해 낸다: “우드-드-드.” 음정과 리듬은 바뀌지만 소리는 그대로다. 금빛 가장자리가 달린 파란 베일을 가져와 그녀의 머리에 성모 마리아처럼 덮고, 그녀는 구세주의 어머니(Mater Salvatoris ) 이미지처럼 보인다. (단토르는 이 성모와 동일시된다.) 그녀는 군중의 끝에 서 있는 한 남자에게 다가간다. “우드-드-드.” . "그래요" 라고 그가 대답한다. "내가 해줄게." 그녀는 또 다른 사람을 자신을 위해 차려진 화려한 제단으로 끌고 가서 강하게 손짓하며 말한다: "데-데-데-데-데-데-"

방 건너편에 있는 한 여자가 남자에게 소리쳤다. "그녀는 테이블을 원해. 그녀를 위해 당신이 파티를 열어주길 원해." “우드-드-드-드.” 그녀가 나에게 부드럽고 경쾌하게 말했다. 그녀의 손이 내 손을 문지르고 내 뺨을 지나간다. 이어 임신한 여성의 배를 쓰다듬는다. "데-데-데-데-데-데-".그녀는 거의 속삭이듯 말하고는 갑자기 그 여성의 머리카락을 거칠게 움켜쥐고 흔들며 소리친다.

 

“우데-데-데-데-데-데-데!” 누군가 말한다. “그녀는 네 머리를 씻으라고 해.” 또 다른 누군가 말한다. “시작(initiated)을 하라는 뜻이야.” “맞아!"라고 세 번째 사람이 말하고, 고개를 끄덕인다. 게데Gede와 단토르Dantor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학문적 거리감을 두고 관찰하는 것과, 삶의 문제들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안고 수년간 교류해온 사람들에 둘러싸여 영혼의 관심을 기다리는 사람으로 존재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일이다.

우리가 보았듯이, 아프리카 드럼연주는 여러 리듬들의 부딪힘 속에서 통합적인 비트를 분명하게 들려줄 수 있도록 리듬을 직접 만들어내야 한다. 마찬가지로, 부두교의식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그곳에서 만나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와의 상호작용에 자신의 삶의 내용을 직접 투영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의식은 아무 의미가 없을 것이다. 사람들은 이 의식을 이해하고자 할 때, 자신의 삶을 그 의식 속에 대화로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부두의식은 체르노프가 묘사하는 음악처럼 "개인의 성격(특성character)을 보여주는 기회"가 된다.7)

내 카메라가 공동체를 촬영하는 것을 어떻게 여기는지, 지역 사회에 들어가기 위해 돈을 주고 억지로 하는 건지, 적절한 방식으로, 혹은 유머러스하게 돈을 지불하려는 건지, 커뮤니티에서 내가 존재하는 것이 논쟁의 원인이 되었을 때가 있었다.1979년, 그것을 단토르가 인자하게 수용하는 것을 내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식하든: 이 모든 것들은 단지 나의 성향을 드러내는 계기일 뿐만 아니라 그 맥락에서 ‘인격을 가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배우는 기회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음악을 만들 때 누군가의 인격(character)을 드러내는 방법은 인간관계를 통해서이다.8) 어떤 리듬도, 심지어 내면의 리듬조차도 고립된 채로는 어떤 음악적 의미도 없다. 아프리카 음악에서 의미는 서로 다른 리듬 라인의 상호 반응에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댄서들은 드럼 연주자들에게 반응하고, 드럼 연주자들은 댄서들에게 반응한다. 드럼 연주자들은 특히 재능 있는 댄서에 맞춰 리듬 패턴을 바꿀 수도 있고, 그녀에게 더 에너지 넘치는 자기표현을 하도록 자극하기 위해 리듬을 더욱 강렬하게 바꿀 수도 있다.

음악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이렇게 모든 참여자들이 반드시 함께 관계하고, 서로 의존하는 방식이라는 체르노프Chernoff의 통찰, 즉 아프리카 음악의 내용은 그것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 그 자체라는 말을 뒷받침한다. 게다가 부두교 의례는 일반적으로 서로를 잘 아는 사람들끼리 상호 연결된 두터운 그물망이 펼쳐진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하며, 이것이 의례가 기능하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런 상황에서, 알루르드는 앙상블의 리드 드러머(lead drummer)와 같다. 그녀의 역할은 자신의 리듬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리듬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대화로 초대하는 것이다. 리드 드러머처럼, 그녀는 또한 그 ‘대화’를 다시 중재하고 조정하면서 미묘한 변화를 도입할 책임도 있다. 아프리카 드림연주 공연의 성공을 평가하는 기준은 드러머의 기교나 창의성보다, 전체 프로그램이 사회적 행사로 잘 흘러갔는가에 있다 9)

 

마찬가지로, 부두교 의례는 그곳에 모인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가 제대로 표현되고 명확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합되었다면 성공한 것이다. 이것은 알루르드 같은 위치에 있는 사람 혼자만으로 절대 해낼 수 없다. 그래서, 새벽녁에 사람들이 알루르드의 집을 떠날 때, 그녀가 풍성한 부두 연회를 주최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사를 전하는 것은 손님들만이 아니다. 알루르드 또한 그들에게 진심어린 감사를 전한다.

에질리 단토프Ezili Dantof의 빙의 퍼포먼스를 자세히 보면, 우리는 부두교 의례와 아프리카 드럼연주 사이에 매우 분명한 유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단토프는 아이티 노예혁명에 가담한 벌로 혀를 잘렸다고 한다. 그래서 그녀는 말을 할 수 없다. 단토프의 연주는 아프리카 앙상블의 개별 리듬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다. 영혼이 한 그룹의 사람들과 상호 작용을 할 때만 그녀의 소리는 의미를 갖게 된다. 위에서 인용한 구절에서 보았듯이, 단토르는 자신의 바디 랭귀지와 "데-데-데-데-"의 음높이와 리듬을 변화시킴으로써 의사소통을 할 때의 감정적인 톤으로 소통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체는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실제로 그 메시지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메시지 안에 더 많은 갈등이 있을수록 공동체는 더 많은 해석을 내놓는 것으로 보인다. 단토르가 먼저 임신부의 배를 부드럽게 쓰다듬은 다음 머리를 거칠게 흔드는 경우가 그랬던 것 같았다. 이 메시지에 대한 해석은 여러 출처에서도 나왔고, 실제로 그 해석은 그 자리에 함께 있던 전체 그룹의 암묵적인 승인을 받았다.

 

단토르는 아이를 낳는 여성이다. 단토르를 위한 복잡한 의례를 통해, 어머니와 자식 관계에 내재된 많은 가능성들이 펼쳐진다. 상호 보살피는 관계에서부터 상호 파괴적인 관계까지 지지적인 것에서 상호 파괴적인 것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가능성의 스펙트럼은 임산부에 대한 단토르의 반응에서 곧바로 나타난다. 그녀는 먼저 여성의 자궁에서 자라는 생명에 대해 부드럽게 진정시키고 축복하고, 이어서 더 큰 집단인 친척들에게도 생명에 대한 책임이 있음을 적극적으로 상기시킨다. 단토르가 촉구하는 입문 의례의 주된 목적은 바로 그 친족 집단을 강화하는 것이다.

단토르의 존재는 보두교 의례의 촘촘한 사회적 실뜨기같은 연결 속에서 다양한 수준의, 다양한 방향으로 의미를 호출한다. 그 의식에 참여한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삶의 리듬을 어떻게 "데-데-데-데-" 라는 영의 리듬과 대화시키는지는 모두 설명할 수은 없다. 그 리듬과 소통하려고 선택한 수많은 방식들은, 설명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한 여성이 단토르가 임산부와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이용해, 말없이 자신의 딸에게 손주를 낳아주길 바란다는 바람을 전하는 모습을 목격했다.

단토르의 교차리듬은, 진정제(임산부의 배를 문지르는 것)와 강제적인 규율(머리를 움켜잡는 것)로 연주되었고, 그것들은 다른 삶의 맥락의 교차리듬과 결합하면서 다양한 의미를 만들어냈다. 이렇게 해서 영혼들의 의사소통이 모호할수록 그 모호한 의미에 깊이를 더하고 또 풍성하게 만든다. 이것은 아이티 부두교에서는 이것이 가능하다. 왜냐면 부두에서 영을 섬기는 데 있어 도덕적 특성은 외부의 이상적인 형태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 내부에 존재하는 사회적 힘을 의식화하고, 명확하게 하고, 균형을 맞추는 데 있기 때문이다.

 

의례화는 본질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부두교 맥락에서 크리올(Creole)어로 “발랑스(balanse)"는 의례적 움직임이나 춤을 가리킨다. 각 무용수는 자신의 몸으로 메트로놈 같은 박자를 유지함으로써, "복합적인 리듬 속에서 스스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방법"을 찾아낸다.10 이 일이 문자 그대로나 은유적으로나 집단 전체에서 일어나게 되면 분위기가 "뜨거워지고" 노래와 춤이 활기차게 되고, 많은 영혼이 찾아와 오래 머무르게 되기 때문에 의례가 성공적이라고 주장한다. 음악적 구조와 세계관 사이의 또 하나 중요한 유사점이 있다. 부두체계에서 리듬들의 복합적 충돌과 갈등은 우주론적, 사회적, 개인적인 대응책을 가지고 있다.

체르노프(232)는 "음악 속의 다양한 리듬과 세계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힘에 대한 종교적 개념 사이의 평행성“을 지적한다. 이 관점은 부두교 체제에 의해 사회적, 개인적 영역으로 확장되어 그들과 관련된 다른 영혼에 따라 사람들 내부 및 사람들 사이의 충돌하는 힘을 설명한다.

부두교에서, 각각의 개인은 "머리의 주인"이라는 테트tet라 불리는 하나의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영혼의 성격은 어느 정도 개인의 성격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공격적인 행동의 사람을 관찰하면, 그는 전사 영혼인 오구Ogou를 섬기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서로 다른 테트tet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 주변에는 서로 다른 행동적 기대가 있다. 테트외에도 각각의 사람들은 "사랑"한다고 말하는 두 명, 세 명 또는 네 명의 다른 영혼들이 있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복잡해진다. 개인의 성격은 "머리 안"과 "머리 바깥"의 서로 다른 영혼들의 다중 리듬 가운데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통합된다.

 

부두교에 들어가는 신참자는 다음과 같은 말을 들을 수 있다. “너는 오구Ogou에게만 기도할 수는 없어. 그는 너무 뜨거워. 담발라Dambala에게도 촛불을 켜라.” 선하고 강인한 사람은 박자를 놓치지 않고 반대 방향으로 힘을 끌어당기는 가운데 중심을 잃지 않고 ‘춤추듯’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사람이다. 도덕적인 사람은 강하게 발달된 메트로놈 감각, 즉 자기감(sense of self)의 감각이 강하게 발달된 사람이다. 체르노프는 아프리카 드럼의 폴리리듬 구조를 "박자를 찾기위한 음악(music-to-find-the-beat-by)”"이라고 부른다. 11) 우리는 부두교를 "자기를 찾는 의례(ritual-to-find-the-self-by)"라고 부를 수도 있다.

그러나 개별 리듬은 관계에서만 의미가 있다. 그래서 부두교의 도덕적 지혜는 자기 스스로 가장 명확하고 안정적인 자아의 감각을 갖는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정확하게 반응하고 책임감이 있는 관계를 만든다는 것을 가르친다. 유럽중심 문화에서 우리는 개인에 대한 문제와 집단에 대한 문제가 정반대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아이티 부두교에서 이 둘은 일치한다. 여기서 강한 자기감을 개발하는 것은 자급자족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더 강력하고 지속적인 사회적 유대를 만들어가는 길이 된다. 아프리카 드럼 연주에서 나오는 미적 감각은 서로 충돌하고 갈등하는 리듬들이 서로 씨줄과 날줄처럼 교묘하게 짜임새를 엮어내는 능력에서 기쁨을 찾는다.

부두교에서 말하는 도덕적 감각은, 삶의 갈등을 항상 즐기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어떤 식으로든 그것을 깊이 있게, 또 필연적으로 진실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부두교에서 영혼은 갈등과 모순으로 정의되는 존재이다. 예를 들어, 죽은 자들의 수호자이자 인간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수호자인 게데Göde는 살아있는 자들과 죽은 자들의 세계를 동시에 들여다본다고 하기 때문에 한쪽 렌즈가 빠진 어두운 안경을 쓴다. 이 이중 관점은 의심할 여지없이 그의 유머의 원천이기도 하다. 웃는 것은 균형을 잡는 것이고, 부두교의 모든 균형과 마찬가지로, 갈등을 외면하거나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갈등 한가운데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을 유지하는 방법을 찾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알루르드는 트랜스 상태에 있든 아니든, 생명력과 힘을 조직하는 데 능숙하며 그로 인해 즐거움을 느낀다. 이것이 바로 그녀의 리더십의 핵심이다.

 

여사제로서 그녀의 능력은 인간들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산 자”와 ‘죽은 자(영혼)’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 상호 역동 감각에서 비롯된다. 그녀는 이러한 관계들이 어떻게 분명하게 하고 미묘하게 변화시켜, 역동적이고 균형 잡힌 상태를 이루는 법을 알고 있다. 알루르드는 그녀 자신과의 관계를 먼저 정립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나의 관점에서 보면, 여사제의 역할은 그것을 준비하는 입문 의식과 그것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일상적인 수행을 자아를 강화하기 위한 정교한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부두교의 지도자들은 추종자들과 본질적으로 다르지는 않지만, 아이티의 도시 생활이나 브루클린의 삶의 고통, 빈곤, 혼돈 속에서 그들은 더 강하고 지속적인 "메트로놈 감각" 을 가져야 한다.12)

나는 알루르드가 "나는 내 자신에 대해 충분한 자신감이 있어!"라고 말하는 것을 여러 번 들었다. 알루르드는 영혼들에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과정을 통해 이러한 자신감을 발전시켰다. 그녀는 의식과 기도를 통해 이 영혼들을 받아들이고 나서, 이들을 공동체 한가운데에서 불러낼 수 있게 되었다. 그럴 때 영혼들은 과포화 용액에 떨어진 결정처럼 작용하여, 공동체가 다시 재정렬되고 하나로 단합하게 만든다.

 

*출처: Judith Plaskow, Carol P. Christ(1989), Weaving the WisionWeaving the Visions: New Patterns in Feminist Spirituality, San Francisco : Harper & Row, pp.226-234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