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여성의 할례를 보는 다양한 시각에 대한 소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9-10 10:52 조회9회 댓글0건첨부파일
-
이슬람여성의 할례를 보는 다양한 시각.pdf (418.9K) 0회 다운로드 DATE : 2025-09-10 10:52:20
본문
이슬람 여성의 할례를 보는 다양한 시각에 대한 소고
오은경
이슬람 여성의 할례를 보는 다양한 시각에 대한 소고 오은경* <국문초록>1) 이 글은 이슬람 여성의 할례에 대한 연구이다. 여성할례는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화되어 왔다. 전근대에는 성인식이자 입문식의 기능을 담당했 으며, 근대에는 상징질서와 대타자에 대한 존중의 의미를 지녔다. 탈근대 사회에서는 주체의 실재계에 대한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엄밀하게 한 국가나 지역에 대해서 하나로만 성격을 규정할 수는 없다. 중동, 아프리 카 지역은 전근대와 근대가 혼재되어 있으며, 서구 사회의 이슬람 공동체 에는 전근대와 근대, 탈근대의 특성이 모두 공존 하고 있다. 한편 서구 이 민자들의 여성할례는 ‘육신의 반항’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서구사회라는 대타자에 대한 불신과 저항을, 소속을 정하고 정체성을 고정시키는 방식으 로 표출하는 측면이 강하기에 유사사건에 불과하며, 비윤리적인 행위이다. 여성의 몸에 각인된 가부장제, 인권 억압, 여성이 자신의 몸을 팰러스 화하여 권력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 등 여성할례를 보는 다양한 시각이 있다. 이슬람 여성이 하나가 아니듯 여성 할례에 대해서도 시각으로 고찰 할 수 있는 사고의 유연성이 문제해결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1. 들어가며
중동의 일부 지역과 아프리카 대륙에 널리 퍼져 있는 여성할례1)는 이슬람 종교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슬람 종교에서 남 성의 할례는 중요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렇다면 이슬람은 여성에게도 할례를 강요하고 있는가? 종교적인 의미로 할례를 강조하든 아니든 간에 여성할례가 할례를 하지 않는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에게는 끔찍 하고 폭력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 방법과 종류에 있어 여 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여성할례는 음핵절제를 의미하 고 있기 때문이다. 종교적 의미가 무엇이든 이미 여성할례는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서 관습과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심지어 서구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살아가는 이민자들 중에 젊은 세대 여성들까지도 할례를 받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종교적인 의무 때문에 할례를 하고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그토록 고통스럽고 잔인하게까지 보이는 할례라는 관행을 여성들이 따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한 여성할례의 관행이 존속되 는 많은 공동체에서 어머니는 딸이 할례를 받도록 해주고 싶어한다. 그렇게 해주었을 때 어머니로서 역할을 다했다고 믿기 때문이 다. 이렇게 세대 간에 대물림을 해가며 여성할례가 존속되는 그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단순히 여자들이 할례를 거부하고 반대할 힘이 없기 때문이며, 강압적인 가부장제 때문에 여성할례가 존속한다고 볼 수만은 없는 일이다. 여자들이 여성할례를 지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여기서, 여성할례의 지속 메커니 즘을 알 수 있는 키워드는 여성 주체가 공동체와 관계 맺는 방식 속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다시 말해, 여성 주체가 상징질 서와 동일시하는 방식과 관계가 있을 것이며, 이것은 전근대, 근대, 탈근대 사회라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의미를 달리했을 것이다. 더불어 여성할례를 인권억압이라는 차원에서만 다루고 있는 서구적 시각은 과연 타당성이 있는 것인가에 대해서도 문제제기가 필요하다. 서구의 ‘보편적’인 인권개념이 여성할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 생 각해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슬람에서 보는 여성할례의 의미와 여성할례의 기원, 그리고 여성할례의 종류를 살펴보고, 여성주체가 할례를 통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전근대, 근대, 탈근대 사회와 같은 시대 변 화 속에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인권이란 측면으로 여성할례 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윤리적인 측면도 검토해 볼 것이다.
출처: <젠더와 문화> 제1권(창간호, 2008). pp.87-1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