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훌라경’에 나타난 붓다의 지도법과 그 교육적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7-07 08:58 조회2회 댓글0건첨부파일
-
‘라훌라경’에 나타난 붓다의 지도법과 그 교육적 의미-복사.pdf (20.5M) 0회 다운로드 DATE : 2025-07-07 08:58:58
본문
‘라훌라경’에 나타난 붓다의 지도법과 그 교육적 의미
최보영
<초록>
본 논문은 ‘라훌라경’을 중심으로 붓다의 지도 방법을 분석하며 그 교육적 의미 및 현대적 적용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라훌라경’이란 붓다가 자신의 아들 라훌라를 대상으로 교계한 『맛지마 니까야』의 일련의 경전, 즉 제61․62․147경을 통칭한다. 이들 경을 보면, 붓다는 라훌라의 근기에 따라 점진적 차제(次第) 방식의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붓다는 외동아들인 라훌라를 7세라는 어린 나이임에도 생사에서 완전히 벗어나 윤회를 끊고, 최상의 아라한(arahant)의 과위에 도달하게 하도록 출가시킨다.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붓다는 단계마다 유의미한 교수 학습의 원리를 실현한다. 예를 들어 제1단계에서는 아동 시기에 갖추어야 할 도덕적 인성교육의 요소로 계(戒)의 중요성을, 제2단계에서는 청소년 시기에 따른 교육 실천적 요소로 사띠(sati) 수행을 확립하는 정(定)의 의미를, 제3단계에서는 오온을 소멸시키는 전이적 요소와 문제 해결 중심의 학습 방법을 통해 혜(慧)를 닦는, 이른바 삼학의 수행을 중심으로 열반(nibbāna)을 완성케 하였다.
이러한 지도 과정을 보면, 붓다는 제자들을 지도하는 데 계단을 오르듯이 쉬운 내용에서 어려운 내용으로 점차 수준을 높여 가르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피교육자가 계단을 갑자기 건너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점진적 지도법은 근현대에 듀이나 피아제, 칸트 등이 강조한 교육 이론과도 맥을 함께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라훌라경’에 보이는 붓다의 교육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 교육 이론에 비추어봄으로써 붓다의 점진적 지도법이 갖는 의미를 더 명확히 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붓다의 교육 방식이 갖는 현대적 의의도 도출해보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