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관음보살상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4-07 20:22 조회94회 댓글0건본문
중국관음보살상 연구 (2005, 강희정,일지사)
Ⅰ. 서론
.관음도상의 판단 근거-보관에 표현된 화불, 아미타불
.연구대상-동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컸던 중국의 남북조시대에서 당대까지 제작된 관음상
당말이후 불교의 중국화가 심화됨에 따라 인도나 중앙아시아 기원을 구할 수 없고, 중국 각지의 민간 신앙을 흡수하여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관음신앙으로 전개
.연구 목적-중국 관음상 연구는 우리나라 관음상 원류 파악에 경정적인 단서 제공함
Ⅱ. 중국의 관음신앙
1. 관음신앙의 성립과 전개
1)불전에 나타난 관음신앙
.보살-자신의 공덕을 중생에게 돌려 중생 업보를 덜어주기를 서원하고 자신을 희생
.육관음 어람관음, 마량부관음-구체적인 명칭이 다른 관음의 종류가 십여개, 불교가 중국의 민간신앙과 결합되며 나타난 현상
.구마라집 의 대지도론에서도 관세음이 중생을 교화한다고 나타남, 대승불교 초기단계에서 등장, 2세기 후반에서 3세기 초 관음신앙 전파됨
.관음 명칭 구체적으로 알려진 시기-강승개 번역 무량수경, 구마라집 묘법연화경,
.관음 성격 규정 경전-법화경 보문품, 화엄경 입법품 : 세간의 음성을 관하는 이
구마라집 제자이자 삼론종의 대가인 승조-‘관자재’: 위급한 상황에 처한 중생의 소리에 응답하는 보살
. Avalokitesvara –Avalokita 관 + svara –음
=> 수신( 水神)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 풍요를 상징하는 이란의 여신 아나히타의 영향이래 나나이야나 이르드후쇼 여신이 간다라지방에서 숭배되고 있었음, 이들 여신의 신격이 불교에 흡수되고 반영되었을 것이라고 봄
=> 관음이라는 보살 자체가 서역에서 먼저 신격화되어 서북인도로 전파되었으리라는 가정
-나카무리 하지메는 문헌상 초기부터 관음이 남성성형으로 나타남을 주장하면서도, 아나히타기원설도 수용,
관음이 여성신에서 남성신으로 변화했다고 봄
.관음이 갖는 매개신으로서의 역할- <관무량수경>: 관음이 차안과 피안, 인간계와 천상계, 중생과 부처의 중개자로서의 신격
혹은 극락왕생을 위한 생사의 중개자로서의 성격 지님
2) 관음의 기원
a) 중개신 개념의 모태-기원전 4세기 페르시아의 미라신앙
b) 인도의 재래신-<대지도론>에서 관음이 다른 국토에서 왔다고 설명함
c) 관음 기원-인도 재래신에서 구하는 견해도 있음, 베다나 브라흐마나에서 찬미되는 아슈빈쌍신의 신앙 혼입됨
=> 여신이나 여성적 성격에 주목하며 관음과 연결함
d) 관음신앙의 전개
-불계와 인간계 연결시켜주는 매개신
-재난에서의 구원이나 아들낳는 소원 성취
-대승불교발전과 더불어 급격히 신앙대상으로 위상 확립
-법화경 보문품, 관무량수경, 화엄경의 입법계품
법화경 보문품: 중생-무진의보살-관음보살-석가모니불의 위계 설명, 육지건 바다건 험한 길 오가는 상인들 안전 희구함
-서방정토 왕생 기원하는 중생 염원:관음을 일생보처보살, 관음보처성불설로까지 발전시킴
2.관음신앙의 수용과 중국에서의 전개
1)관음신앙
3-4세기 인도 관음신앙 존재, 중국은 413년 불국기에 기술됨
.5세기 관음 조각 인도 등장-연꽃 가지 들거나 보관화불이 있는 보살상, 발원문을 통해 보면 현세 기복과 망자 추선이 주 목적
.6세기 후반부터 성불, 정각 기원하는 내용이 부가됨
2)관음상 종류
- 연화수보살/수인을 가진 관음보살로 신체 드러내지 않음/연꽃이나 보주 등을 들고있는 집보주관음상
.연화수관음-연꽃은 불성의 개발을 의미함, 정법의 보살행적 실천을 상징, 연화는 제난구제의 관음을 상징
.중국화가 진행되면서 5세기 후반 인도적인 요소 사라짐,
-꽃봉우리 잡지 않고,시무외인과 여원인 모습으로, 보주(반야바라밀)를 들고 있음,
-법화경에 신앙의 기반을 두고 있음
.양류관음
-도상의 중국화, 불자(먼지털이같은 것)를 들고 있는데, 이것이 점차 버들가지로 변화한 것이 아닌가 추측함
-버들가지를 이용해서 물을 뿌림으로써 특정한 병을 낫게하는 의식이 실제로 행해짐
-고대 중국에는 버들가지로 악귀를 몰아내고 만물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민간에서 널리 활용
.보관화불이 표현된 수나라 대의 관음상
3)당대의 다양한 관음상
-화불이 있으면서 정병을 들고 있음
-당대 신앙의 중심은 아미타신앙, 관음은 아미타의 협시로 그려지거나 덜 중시됨,
-밀교계 관음상의 증가와 도교적이고 중국 전통적인 문화 영향을 받은 수월관음, 백의관음의 대두
-남북조시대의 다양한 도상과 양식의 관음상과 달리 관음의 배타적, 독점적 도상으로 가장 확실하게 정착됨
-당대 이후 밀교 관음상인 십일면관음이나 천수관음, 여의륜관음과 같은 변화한 관음들이 등장
3.당대 밀교의 발달과 관음신앙
.진언과 만달라 등장
- 기존의 대승불교를 현교로 칭하며 성불을 지향하는 인위의 불교로 비하하는 반면, 밀교야말로 석가모니가 완성한 구극의 경계를 추구한다고 봄
-주문과 의식 기반:밀교에서는 행위 그 자체로는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고 행위 의도를 판단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함,
‘보살이 남을 구제하기 위해서라면 어떤 일도 못할 것이 없다’고 주장
-힌두교 영향을 받은 변화관음 등장:십일면관음, 천수관음, 마두관음, 여의륜관음, 준재관음 등
.십일면관음
-베다에 나오는 파괴의 신인 루드라는 십일최승으로 불리며 쉬바로 발전하는 신, 십일은 이와 연관됨. 원래 양성이던 루드라에게 브라마가 성을 구분하여 나눠지도록 명령하자, 루드라는 열하나로 나뉨, 그 중 검고 포악한 아들과 희고 온화한 아들이 섞임. 11개 존재로 각기 다른 힌두 신격으로 분화됨.
-십품의 무명을 끊고 십바라밀을 얻은 정법명여래에서 근거한다는 주장도 있음
.천수천안관음
-관음보살의 이타행이 무량광대함을 극적으로 나타낸 것, 이타를 더욱 강조
자비의 개념을 넓혀가면서 민간신앙의 숭배 대상이 불교에 이입되는 통로 역할을 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