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송 49. 마치 꽃을 손상치 않고, 꿀만을 얻어 날아가는 벌처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9-23 22:08 조회3회 댓글0건본문
담마빠다 with 선일스님
게송 49. 인색한 부자 꼬시야 이야기게송
.꿀벌의 비유를 통해 수행자가 재가자들과 어떻게 관계행 하는지 보여줌
. 마하목갈라나 존자의 교화 방식: 신통력을 사용했지만 상대를 해치지 않음.
"마치 꽃의 빗깔과 향기와 모양을 손상치 않고,
꿀만을 고스란히 얻어 날아가는 벌처럼
빅쿠는 마을에서 그같이 탁발해야 한다. “
=> 집착하지 않는 삶, 필요한 것을 얻되, 남용하거나 집착하지 말라,
* 재가신자를 교화하는 방법
- 그들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으며, 신심을 건드리지 않고, 그들의 재산에 손해도 끼치지 않으며, 마음에 피곤함이나 압박감을
느끼지도 않게 하여야 하느니라.
- 그렇게 여래의 덕과 지혜를 깨닫게 하되, 그것이 마치 벌이 꽃에서 꿀을 따지만 꽃의 향기나 모양을 해치지 않는 것과 같아야,
=> 벌이 수분을 도와 꽃과 나무에 이익을 주듯, 수행자는 담마, 공덕의 과보를 돌려줌으로써 상호성이 성립됨
-상대방을 해치지 않으면서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를 만들기
-받는 자의 무해, 주는 자의 환희, 즉 인색한 마음을 버리고 보시의 기쁨을 체험할 때, 그 길이 올바름
. mana (아만) - 나보다 낫다/못하다/비슷하다고 남과 3가지 비교, 끝내 오만함을 벗어나지 못해서 망함,
수행의 가장 큰 방해요소 가운데 하나
.anatimani -남과 비교하는 것
=>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꿀같은 사람이 되자, 달콤하고, 해롭지 않고, 만나면 기분 좋아지는 그런 사람으로.
=>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꿀같은 사람이 되자, 달콤하고, 해롭지 않고, 만나면 기분 좋아지는 그런 사람으로.
*사람들이 말을 할 때(앙굿다라니까야)
-똥처럼 말하는 사람
-꽃처럼 말하는 사람: 내가 뭔가를 줄 수 있는 , 상대를 즐겁고 행복하게 만드는 말
-꿀처럼 말하는 사람: 상대방을 즐겁게 하는 것은 물론,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탐진치를 줄여줄 수 있는 말
kusala-더 높은 단계로 올라가는
.보시의 방법
- 3분의 1을 보시하라. 한 덩이는 너 자신을 위해, 한 덩이는 가족들을 위해, 한 덩이는 보시하라.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것이 가장 우선.
-음식- 먹는 음식, 법문, 좋은 말, 웃음
*상대방과의 관계 맺음
- 건강한 경계선: 상대방 영역을 존중하고 거리감 유지
- 정서적 지능: 갈등 상황에서도 냉쳘함 유지
-상호 이익-윈윈, 상대도 나도 좋게 하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