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애경-모든 존재 모두다 행복하여지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7-29 22:04 조회68회 댓글0건본문
담마빠다 with 선일스님
*자애경:자애수행자가 갖추어야 할 인격적 조건
1번-15번까지: 깨달은 분이 비난할만한 행위는 결코 하지 말아야 한다(14번까지는 계(내 스스로가 부끄럽지 않은 일 ),
15번은 율(타인에게 해를 까치지 않도록 함)
.sukha-현재의 안락과 행복, khema-미래적 안전
=> 지금도 현하고 미래도 두려움이 없기를!!
=> 모든 생명들이 행복하고 안전하기를, 그들이 자신 안에서 진실한 평화를 누리기를!!
4. 숨을 쉬며 살아있는 존재라면 어떤 것이든, 움직이는 것이든, 움직이지 않는 것이든, 긴 것 이든,
거대한 것이든, 중간이거나 짧거나, 미세한 것이거나 거친 것이거나, 남김없이 모두
-> 나는 살아있는 모든 존재들에게 자애를 보냅니다.
-> 움직이는 것이든, 움직이지 않는 것이든, , 크든, 작든, 길든, 짧든, 미세하든, 눈에 띄든, 그렇지 않든,
나는 그 모두가 행복하길 바랍니다. 남김없이 자애의 빛이 닿기를!
.ananasesa- 남김없이 어떤 것이든
5. 본 존재든, 아직 보지 못한 존재든, 멀리 사는 자든, 가까이 사는 자든, 이미 태어난 존재든,
태어나려는 존재든, 모든 존재가 행복하기를~!
-> 나는 지금까지 나를 지나간 모든 존재들에게, 나와 함께 있는 이들에게,앞으로 나와 만나게 될 모든 존재들에게 자애를 보냅니다.
그들이 행복하길, 편안하길, 건강하길, 해탈에 이르길 바랍니다.
6. 아무도 다른 이를 해치려 하지 말며, 어디에서도 누구를 업신여기지 말고, 분노나 혐오의 마음으로 인해 서로가 서로에게
괴로움이 있기를 바라지 말라.
-> 나는 누구도 해치지 않겠습니다.
-> 나는 누구도 업신여기지 않겠습니다.
-> 나는 분노와 혐오에서 벗어나겠습니다.
-> 나는 누구에게도 괴로움이 닥치길 바라지 않겠습니다.
.dukkhamiccheyya -괴로움을 바라지 말라
=>이 세상에서 원한은 원한으로 결코 가라앉힐 수 없어, 자애로서만 원한이 가라앉는다. 이것은 변치않는 진리다. (담마빠다 5번)
7. 마치 어머니가 자신의 목숨을 바쳐, 하나뿐인 자식을 지키듯이,
이와 같이 모든 존재들을 향한 끝없는 자애의 마음을 닦아야 한다.
-> 대체 불가능한 하나뿐인 자기 자식을 살리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다 바쳐서 지켜내듯이, 모든 존재들에 대해
예외없이 무량한 자애의 마음을 닦아야 한다. anu(따라다니며) + rakkha(지켜라)
8. 자애의 마음을 모든 세계에 한없이 키워가야 한다.
위로, 아래로, 온 누리로, 장애없고, 원한없고, 미움없는 자애의 마음으로
-> 모든 세계에 자애를, 위로(하늘, 신, 높은 존재들); 아래로(동물, 지하존재, 지옥세계 등);온 누리로; 수평으로(전후좌우의 인간들),
즉, 사방팔방 삼계육도를 모두 포괄하는 자애수행의 공간적 확장을 말함,
-> 자애의 마음은 '장애없는 마음, 원한없는 마음, 적대심, 경쟁심, 질투심, 대립이 없는 마음
.asambadham(실타래처럼 얽히고 섥힌 것이 아닌, 아무런 걸림이 없는) averam (원수가 아니고 원한이 없는),
asapattam(적군같은 마음이 없는)
9. 서 있을 때도 걸어다닐 때도, 앉아있을 때도, 누워있을 때도, 언제 어디서나 또렷하게 깨어있는 마음챙김을 확립하라.
이것이 이 세상에서 가장 거룩한 거처(머묾)에서 사는 삶이라 일컬어진다.
->향주좌우 어묵동정
-> 이 세상에서 가장 거룩한 머묾, 신성한 처소는 자애/연민/더불어 함께 기뻐함/평정, 이 네가지의 무량심을 말한다.
이는 열반에 이르기위해 해탈의 도구로서의 거처이다.
.brahmam viharam- 천상에서 사는 삶
10. 삿된 견해에 빠지지 않고, 계율을 지니고, 바른 통찰을 갖추며, 감각적 욕망에 대한 탐욕을 제거한다면,
다시는 윤회의 모태에 절대로 그는 들지 않을 것이다.
-> 삿된 견해를 버리고 삼마딧티(정견)에 근거한 수행으로 계율과 바른 견해를 갖춘자,
욕망을 초월한 자, 더 이상 태어나지 않는다. 즉 ,닙바나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한 자)
-> Metta bhabana는 단지 '좋은 사람이 되는 법'이 아니라, 윤회를 멈추는 수행임
*arahan(ariya)은 출가자만이 갈 수 있음
*kama-5가지 ( 눈.귀.코.혀.몸)이 원하는 욕망-단맛 쓴맛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초월한 맛
*담마의 거울을 보아라(법경)
-잠깐이라도, 한가지라도, 매일 1분만이라도, 자신을 보는 수행을 하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