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기 남아시아문화학교: 빠알리(Pāli) 입문 및 강독 안내 >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제7기 남아시아문화학교: 빠알리(Pāli) 입문 및 강독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9-30 22:28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서울대학교 남아시아센터 제7기 남아시아문화학교: 빠알리(Pāli) 입문 및 강독 안내

8ddda5e658a33637a9f98420b4debce8_1759238879_5173.jpeg
 

안녕하세요, 회원님.

서울대학교 남아시아센터에서 운영하는 유익한 강좌 안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본 강의는 쌍쓰끄리땀의 기초를 이해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남아시아문화학교는 강좌 수강대상 제한을 따로 두지 않으며, 수강료가 없습니다. 수강희망자는 이름, 소속, 전화번호와 수강희망의사를 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이메일로 화상강의 URL을 보내드립니다.

<강사 및 강좌 소개>

새로운 차원의 빠알리어 입문 및 강독을 시도하는 제 7기 남아시아문화학교는 두 교수님의 강좌로 구성된다. 인도철학 및 인도 고전어 연구자 강성용(서울대 남아시아센터장) 교수님과 초기불교 및 빠알리어 연구자 이자랑(동국대 HK교수) 교수님이 각각 빠알리어 입문과 강독을 진행할 예정이다.

빠알리는 인도 중세어의 가장 오래된 층위를 대표하는 언어이다. 그런데 현재 남방 상좌불교의 전승이 빠알리를 사용하고 있다 보니 인도불교, 특히 초기불교에 관심을 갖거나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큰 관심거리가 되는 언어이기도 하다. 하지만 빠알리는 실제로 붇다가 활동하던 인도 동부의 언어가 아니고 전형적인 인도 서부 언어이며, 현재 우리가 접하는 남방 불교의 빠알리 전승은 언어의 역사적인 형태를 그대로 담고 있다기보다는 전승자들이 능동적으로 개입해서 표준화시키고 문법에 맞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빠알리를 이해하고 익히는 과정에서 고대 인도의 언어사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쌍쓰끄리땀을 학습하지 않은 채로 빠알리를 익히는 일은 넌센스라고 해야 합당하려니와, 빠알리 텍스트에 종종 등장하는 빠알리 표준 문법에 맞지 않는 형태들이야 말로 대부분 동부 인도의 언어가 가진 흔적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다시 말해서 붇다 자신의 언어에 가까운 표현들이라는 말이다. 이러한 모든 사정을 반영해서 대부분 세계적인 인도고전학 교육 기관에서는 빠알리 문법을 별도로 강의하지 않고, 쌍쓰끄리땀을 기준으로 역사적 변천을 설명하는 아주 짧은 입문 시간을 할당하는 것이 자주 있는 일이다. 

이런 맥락에서 단 두 시간에 걸쳐 빠알리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간략한 ‘빠알리 문법의 역사적 이해’를 위한 강좌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 역사적 맥락에서의 입문 강의 두 번의 시간을 통해 왜 ‘빠알리는 인공언어이다.’라는 주장이 적확한 맥락이 있는지, 그리고 왜 빠알리는 역사적 붇다의 언어일 수는 없지만, 붇다의 언어가 남긴 흔적들을 담고 있는 언어인지를 파악하게 될 것이다.

강성용 교수님이 빠알리어의 형성과 정체성의 맥락을 파악하는 입문 강좌(2회)를 이끌어주시고, 다음으로 이자랑 교수님의 강독 강좌(8회)가 매주 화요일 저녁에 이어진다.

강독할 빠알리어 텍스트는 「앙굴리말라경」이다. 「앙굴리말라경」은 극악한 살인자 앙굴리말라가 붓다와의 만남을 계기로 살생을 멈추고 출가하여, 마침내 아라한에 이르는 과정을 전한다. 이는 극악무도한 죄를 저지른 자라도 선한 인연을 만나 정진한다면 아라한과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경이다. 이번 강독은 산스끄리뜨어나 빠알리어의 기초 문법을 어느 정도 익힌 분이라면 누구나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친절하게 진행되며, 초보자들에게 실제 경전 독해의 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독 텍스트는 강좌에 맞춰 제공될 예정이고, 「팔리어 문법」(이자랑 옮김, 씨아이알)은 부교재로서 자율적으로 학습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강독 텍스트 및 부교재는 다음과 같다.

강독 텍스트 : 맛지마 니까야 제86경 「앙굴리말라경(Aṅgulimālasutta)」, Majjhimanikāya, vol.Ⅱ, pp.97-105 (PTS)​

빠알리어 문법 부교재 : 「팔리어 문법_불전의 용례로 배우기」 이자랑 옮김, 씨아이알​

본 메일은 2025/09/30, 불교학연구회 회원님께 발송해드리는 학술정보 메일입니다.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하십시오.

불교학연구회 논문투고시스템 (http://submission.kabs.re.kr) 불교학연구 저널 페이지(http://journal.kabs.re.kr) 불교학연구회 홈페이지 www.kabs.re.kr) 후원 계좌 : 신한은행 140-014-086775 (불교학연구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