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신앙과 불교 : 불교도는 무속신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무속신앙과 불교 : 불교도는 무속신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8-11 12:56 조회15회 댓글0건

본문

제50회 붓다빅퀘스천  “무속신앙과 불교 : 불교도는 무속신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2025.8.29.(금) 오후 6시 ~ 8시 / 동국대 서울캠퍼스 문화관 1층 덕암세미나실

8139ddb75296c307e5eaa1021574c594_1754884574_8571.jpg

48회 붓다빅퀘스천의 주제는 ‘무속신앙과 불교 : 불교도들은 무속을 어떻게 볼 것인가’입니다.
무속신앙은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토착신앙으로 샤머니즘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무속신앙은 불교가 전래되면서 고유의 종교적 기능을 이어가면서도 한편으로는 불교안으로 흡수되어 자리잡고 있습니다. 불교는 삼계의 모든 존재들을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존재들로 보고 선신과 악신, 그리고 보이지 않는 모든 존재들마저 품에 안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포용적인 불교의 특성 탓인지, 무속신앙이 마치 불교 본연의 신앙형태인 것처럼 오도되고 있는 것도 우리 불교가 가진 현실입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불교가 무속신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불교와 무속신앙의 경계선은 무엇인지, 불교가 받아들여서는 안되는 무속신앙의 행태는 무엇인지 전문가들을 모시고 강연을 청해듣고자 합니다.
 

1교시 – 초기불교에서 바라본 무속신앙 / 조준호 동국대 불교학술원 연구초빙교수
           
붓다는 토착신앙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졌었나?
2교시 – 불자들은 무속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 무진 스님 빛고운절 회주
            점과 주술, 부적 신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참가비 : 일반참가자 1만원 (불광구독자는 5천원)

접수인원 : 현장참가 200명 선착순 (온라인 강연신청은 제한 없음)

 

* 은행입금 : 301-0242-6596-11 농협 (예금구 (주)불광미디어)

 (꼭 신청자 이름으로 입금해주시고 입금후에는 아래 전화번호로 반드시 신청 문자를 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 : 010-5761-9417 (문자로 문의주시면 확인후 답변드리겠습니다.

 

* 강연자 소개 


조준호 박사 (동국대 불교학술원 연구초빙교수)

동국대, 인도 델리대 불교학과 졸업(석사 · 박사). 동국대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 고려대 철학과 연구교수,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위빠사나 수행의 인식론적 근거〉 〈초기불교에 나타난 행복감의 차제적 고양단계〉 등과 저서로 《불교명상-사마타 위빠사나》 《우파니샤드 철학과 불교》 역서로 《인도불교부흥운동의 선구자: 2 아소카 아나가리카 다르마팔라》 등이 있다.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불교문화연구원 초빙교수로 재직중이다.

 

무진 스님 경기도 광주 빛고운절 회주, 제천 옥천사 주지

무진스님은 서양철학, 한국사상사/유교경전뿐 아니라 불교학, 문화재학, 심리상담학을 전공하고 구례 화엄사의 창건 역사를 자료 고증으로 밝힌 논문 ‘나말여초 화엄사에 관한 연구’로 중앙승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기 광주에 빛고운절을 창건하고 제천 옥천사 주지로 있으면서 포교에 진력하는 한편 지리산 화엄사의 성보박불관 부관장을 역임하며 성보에 대한 불자들의 안목을 높이는 데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겸 총무이사로 있으면서 불교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무진스님의 무궁무진>을 운영하고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